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여성복지론

by 알음달음 2024. 4. 24.
반응형

여성복지와 임파워먼트(empowerment)

개요

글로벌 세대의 한 축을 이루는 여성들 & 전통적 관념과 여전히 맞닿아 있는 현실

-여성은 여전히 소극적인 존재로 인식, 무기력과 낮은 자존감, 열등함의 사회화다

-데이트 폭력, 가정폭력, 등은 힘의 부재를 보여주는 증거이다

-여전히 성별, 연령 등의 노동시장 진입 장벽 존재한다

-저임금, 비정규직에 대다수 여성 포진되어 있다.

 

힘의 부재

-여성은 타인과의 관계뿐만 아니라 자신을 향한 생각과 행동 감정에서도 자신감과 자존감 부족 자기 비하, 심리적 위축 무력함 경험

-부정적인 정서와 인식은 결국 순환적으로 여성 자신과 타인의 관계에대한 악영향---> 여성을 의존자로 , 사회적 역기능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변화의 물결

-기혼여성들의 활동과 구매력에 초점을 둔 아줌마 파워

-조용한 혁명, 인구학적 변화의 핵심적 주체---> 의무교육의 실시와 가치관이 변화, 인권 의식의 향상, 여성들의 인적 자산 상승---> 사회경제적, 소비의 주체로서 여서들의 성장

-경제문제, 이혼 증가 등으로 인한 여성가구주의증가---> 여성가구주의 빈곤율 상승

 

여성가구주의 빈곤률 증가

-여성가구주의 빈곤율13.6%, 남성가구주 빈곤율 9.9%

-빈곤 여성가구주의 경우 남성배우자의 부재로 인한 소득감소, 기혼여성 의 낮은 인적자원과 경쟁력---> 사회경제적 차원에서 자립할 수 있는 힘의 부재

-만성적인 건강악화, 역할과 중, 주거문제, 심리적 스트레스 등 경험---> 주변을 통제하 수 없다는 무기력감, 절망감, 생계 책임자로서 자신의 역할에 대한 부정적 평가로 우울증과 불안증 경험---> 탈빈곤의 기회를 못 갖는 악순환

-이들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자존감 회복과 능력 등에 대한 인식. 지지 임파워먼트 접근 필요하다

 

빈곤여성을 위한 지원으로서의 임파워먼트

-빈곤여성들의 부정적인 자기평가를 위한 지원서비스

-임파워먼트는 구체적인 자원과 서비스에 대한 욕구를 발견하고 욕구를 충족시키는 대안을 증가시키는 하나의 실천적 방법이다

-이들의 자립을 위해 여성의 억압과 차별에 대한 의식화 과정을 통해 자신은 물론 일반여성에 대한 비하 혹은 이중구속에서 벗어나도록 돕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사회복지 프로그램으로서의 임파워먼트

-1970년대 흑인들이 빈곤상황에서 벗어나게 하기 위해 하나의 개입전략으로서 임파워먼트 소개

-장애인, 청소년 학대받는 여성, 빈곤가족 등을 대상으로 임파워먼트를 적용하는 연구시작

-1990년대 사회복지실천의 기본 정신이자 실천원칙인 사정, 개입방법, 평가 등에서 보편적으로 활용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