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성인 대상 정신장애와 정신건강사회복지

by 알음달음 2024. 4. 25.
반응형

사회불안장애의 특징과 원인 및 개입 과정

특징

-불안장애의 하위유형

-불안장애의 발병연령 순서: 분리불안장애-->선택적 함구증--->특정공포증--->사회불안장애---->공황장애--->광장공포증--->범불안장애

-타인에게 관찰 될 수 있는 사회적 상황에서 극심한 공포와 불안

-사회적 상황 노출도면 언제나 불안하고 공포를 느낀다

-부정적 평가를 두려워한다

-예기불안, 공화발작

-일상생활과 사회생활에 심각한 역기능

 

원인

-유전적 요인

-정신역동이론: 무의식적 갈등의 투사

-인지이론: 연속적 부정적 인지과정

진화론: 지배적 공격적 타인에 대한 두려움

 

개입과정

-인지행동 집단치료:8~15명의 치료집단

-약물치료: 심각할 경우 인지행동치료와 동반되어야 효과가 있다

 

공황장애의 특징과 원인 및 개입 과정

특징

-예기치못한 공황발작의 반복

-DSM-5공황발작 증상: 심장박동 빨라짐. 진땀 흘림 몸이 떨림, 질실할 것 같음, 가슴 통증, 어지럽거나 쓰러질 것 같음, 미칠 것 같음, 죽을 것 같은 공포 등

-반복적 공황발작과 예기불안

-공황발작과 관련된 부적응적 행동

-평균 발병 연령:20~24세

 

원인

-과잉호흡이론

-질식역동적 입장: 방어기제, 분리불안, 무의식적 상실

-인지이론:파국적 오해석

 

개입 과정

-약물치료: 부작용

-인지행동치료: 복식호흡 훈련, 긴장이완 훈련, 인지, 수정 점진적 노출 등

 

범불안장애의 특징과 원인 및 개입 과정

특징

-다양한 상황에서 지속적,과도한 불안과 걱정

-범불안장애와 정상적 불안의 차이:세 가지 기준

-DSM-5의 기준:안절부절못함, 쉽게 피곤해짐. 집중하기 힘들거나 머릿속이 하얗게 된다.  화를 잘 냄, 근육의 긴장, 수면 곤란

-아동,청소년: 학교와 스포츠 수행의 걱정

-노년층: 가족 안녕과 자신의 신체 건강의 걱정

 

원인

-생물학적 원인: 유전적 요인 신경전달물질, 뇌의 구조적 요인

-정신분석이론: 방어의 부적절

-행동주의이론: 공포반응으로 조건형성

-인지이론:4가지인지적 특성

 

개입과정

-약물치료: 심각할 경우 부작용

-인지행동치료: '걱정사고기록지'의 활용 , 부정적 신념 수정, 긴장이완 명상 등

 

외상후 스트레스장애의 특징과 원인 및 개입 과정

특징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의 하위 유형

-외상: 강력하고 충격적인 부정적 사건

-충격적 외상 사건에 노출된 후 나타나는 다양한 부적응적 증상

-다양한 방식으로 외상사건의 재경험: 침투,

증상, 플래시백

-외상과 관련된 자극의 회피

-인지 또는 감정의 부정적 변화

-각성과 반응성의 현저한 변화

-외상 경험 후 3개월 이내에 시작

 

원인

-위험요인:외상 전, 중,후의세요인

-생물학적 입장

-정신분석적 입장

-인지적 입장:파괴된 가정이론

-스트레스 반응 이론: 절규-->회피-->동요-->전이-->통합의 단계

 

개입과정

-약물치료

-정신역동치료

-지속적 노출법

-인지처리치료

-안구운동 둔감화 및 재처리 치료

-외상후 성장

 

성격 장애 및 기타 정신장애

특징

-성격특성 자체가 사회문화적 기대로부터 심하게 벗어나는 부적응적 양상을 보인다

-기준

사회문화적 기대에 벗어난다(인지,정동,대인관계,충동조절)

사회 전반

사회적, 직업적 기능장애

오랜 지속 기간

다른 정신질환으로 설명 불가

약물 남용의 효과가 아니어야 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