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상요가

진리(眞理)

by 알음달음 2023. 10. 1.
반응형

진리라는 말은 사물의 참된 이치를 말합니다. 진리는 보편타당해야 합니다. 이러한 진리의 발견은 뛰어난 혜안을 가진 자에 의해서 밝혀집니다. 원래 괴로움이 있다는 것과 괴로움의 원인이 집착이라는 것은 붓다에의해 처음으로 밝혀진 세간의 진리입니다.  괴로움은 소멸될 수 있다는 열반과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이 팔정도라는 것도 부산에 의해서 처음으로 밝혀진 출세간의 진리입니다. 그러므로 사성제는 괴로움과 진리와 괴로움에서 벗어나는 출세간의 진리를 아우르는 완성된 진리입니다.

 

 

 

 

 

"괴로움이 있다"는 진리에서 괴로움은 불만족을 뜻합니다

우리는 갖지 못해서 불만족이고 아무리 가져도 만족할 수 없어 불만적입니다. 그러므로 이래저래 사는 것이 모두 불만족일수 밖에 없습니다. 이것을 괴로움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괴로움이 있는 것을 진리라고 하는 것은 이것이 누구에게나 있을 수밖에 없는 불가피한 현상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기로움의 진리라고 말합니다.

괴로움이 있다는 것이 진리라고 하는 또 하나의 뜻이 있는데 이것은 괴로움이 있는 것을 엄연한 현실로 받아들이라는 뜻이니다. 괴로움 때문에 고통을 겪을 때이겠을 받아들이지 못하면 더 고통스럽습니다. 그러나 괴로움의 진리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면 괴로움이 경감되거나 아예 소멸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괴로움의 원인이 무엇인지를 아는 지혜가 계발됩니다. 그러므로 괴로움의 진리에서 우리가 이해해야 할 중요한 내용입니다.

만약 괴로움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억울하다거나 괴로움을 없애려고 새로운 욕망을 일으켜 괴로움에 저항한다면 더 깊은 수렁에 빠지게 됩니다. 이럴때는 괴로움의 원인이 집착이라는 진실을 발견하지 못합니다. 괴로움의 원인을 발견하는 것은 지혜입니다. 이런 지혜가 없으면 결코 괴로움으로부터 벗어날 수 없습니다. 이처럼 여러 ㄱ지 의미로 괴로움이 있다는 것에 대한 진리를 알아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