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문제해결 방법: 시도된 해결책 다루기
-MRI 집단은 문제란 가족생활주기를 통하여 개인이나 가족이 경험하는 변화하는 환경으로부터 발전한다고 봅니다.
-즉, 가족생활주기에서 오는 변화에 적응하는 방법이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오히려 문제를 악화시키는 방법(비효과적인 해결책)으로 제시되는 것입니다.
-주호소문제는 오랫동안 그 문제를 변화시키려고 지속해온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들, 즉'시도된 해결책'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문제'가 바로 '시도된 해결책'입니다.
-MRI 접근법은 문제를 유지시키는 현재의 해결방식(시도된 해결책)을 제지하고'똑같은 행동을 덜하게'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가정 내에서 행동적인 변화가 일어나게 하는데 초점을 둡니다.
-체계가 어떤 지점에서 차단되었는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고객성' 내담자에 먼저 개입하면 됩니다.
2)일차적 변화와 이차적 변화
-일차적 변화:문제에 대한 비효과적인 해결책, 똑같은 방식을 더하게 하는 반복적인 패턴, 일차적 변화는 내담자 체계가 가진 가족규칙을 따르기 때문에 내담자 체계에 논리적이고 상식적이지만 비효과적입니다. 즉, 문제를 해결할 수 없습니다.
3) 의사소통 가족치료 모델의 개입단계
(1) 내담자의 체계에 합류한다
치료자가 내담자와 비언어적으로 교류하고 내담자의 언어를 사용할 때 증진된다.
(2) 문제를 정의한다
-문제는 가능한 누가, 무엇을, 어디서, 언제, 어떻게 그리고 얼마나 빈번하게 등의 용어로 정확하고 자세하게 내담자의 시작에 정의될 필요가 있습니다.
(3) 결과목표를 정의한다
-"변화가 발생한다면 당신은 비록 아주 작은 변화라 할지라도 중요한 변화가 일어났다는 처음의 징후로 무엇을 볼 수 있습니까?"
-이런 질문은 문제와 목표를 분리시키며 치료에서 내담자가 성취할 수 있는 성공을 상상하게 하여 변화의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4) 시도된 해결책을 확인한다
-시도된 해결책을 확인함으로써 치료사는 초기에 피해야 할 개입방법을 미리 알게 됩니다.
(5) 변화전략을 발전시키고 실행한다
-이차적 변화전략은 악순환되는 문제를 해결시키는 시도된 해결책을 방해하는 데 초점을 둡니다.
-의사소통 가족치료적 접근은 일단 악순환이 저지된다면 내담자는 바람직한 변호를 만들 수 있는 자원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합니다.
(6) 종결
-치료사와 내담자가 제시된 문제를 해결하고 치료를 통하여 결과목표를 성취하였을 때 치료는 종결됩니다.
4) 의사소통 가족치료 모델의 개입기술과 전략
(1)재구성
-재구성은 치료사가 제시된 내담자의 문제에 대하여 그럴듯하고 대안적인 의미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사실이 변하는 것이 아니라 내담자와 혹은 중요한 타인이 그 사실에 부여하였던 의미가 변하는 것입니다.
-재구성을 통하여 옳고, 그름에 대한 내담자와의 불필요한 세력다툼을 피할 수 있습니다.
-재구성은 이차적 변화를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가족관계와 상호작용의 구조를 변경하는 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2) 변화에 대한 제지
-"지금부터 변화에 대한 노력을 천천히 해야 합니다."
-진정한 변화는 작은 변화라 할지라도 안정화되는데 시간이 필요합니다.
-내담자가 자신이나 타인의 변화에 지나친 기대를 가지고 있을 때에 유용할 수 있습니다.
-변화를 제지하는 개입은 치료에 저항하는 내담자들에게도 유용합니다, 내담자가 치료사에 저항하여 빠른 변화를 추구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고, 변화를 하지 않더라도 치료사의 말에 따른 것이기 때문에 치료에 도움이 됩니다.
(3) 입장 취하기
-내담자는 친구, 가족구성원들이 지속적으로 내담자에게 잘할 수 있고 더 잘하게 될 것이라는 낙관적인 입장에 대해 비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낙관론을 제시할수록 점점 더 비판적이 되는 내담자에 대해 치료사가 더욱 비관적인 입장을 취하는 것으로 비관적인 악순환이 고리를 끊을 수 있습니다.
-입장 취하기는 도움을 거절하고 불평하는 반항적인 내담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병리적인 모습을 보이는 내담자는 성장할 때 원가족으로부터 '변화하라'는 언어적인 메시지와 동시에 '변화해서는 안된다'는 비언어적인 메시지를 전달받아 왔습니다. 치료적 역설에서 내담자는 변화를 추구하는 상황에서 '변화하지 말라'메시지를 전달받게 됩니다
(4) 행동적인 처방
-감추는 것 대신 홍보하기:증상이 표출될까 봐 두려워하는 내담자에게 증상을 더 많은 사람에게 알리도록 할 수 있습니다. 내담자는 자발적이지 않았다고 생각했던 것들에 대해 자발성을 가지게 되고, 통제할 수 없었던 것들에 대해 통제력을 얻게 됩니다.
-작은 원인의 큰 효과: 완벽하게 되려는 내담자에게 매일 부담 없는 작은 실수를 의도적으로 하도록 제안합니다. 통제할 수 없다고 여겼던 부분에 대한 반복경험으로 통제력이 중진 됩니다.
-악마의 협정: 내담자가 어떻게 해도 수행할 수 없는 과제를 제시합니다. 자신들이 늘 옳은 결정을 한다고 확신하는 내담자에게 변화를 자극할 수 있습니다.
-홀 수/짝수의 날 의식: 내담자에게 어떤 날은 일상적인 한 가지 행동을 하도록 하고, 다른 날에는 일상적인 행동과 반대되는 한 가지 행동을 하도록 요구합니다. 바람직한 변화를 완수하기보다는 경험해 보도록 함으로써 위험을 감수하는 태도를 증진시켜 주고 변화에 대한 저항을 줄여줍니다.
-자세 낮추기: 치료사가 한 수 아래의 입장을 취하는 것입니다. 내담자의 조언 요청에 대하여"지금은 말할 수가 없습니다. 저는 여전히 당시에 대해 알아가고 있는 중이며 당신이 당신 자신에 대해 전문가입니다. 그래서 저는 당신을 더 잘 알기 위해서 당신의 도움이 필요합니다"라고 답할 수 있습니다.
-제한적인 언어 사용하기:치료사가 내담자와 불필요한 세력다툼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분명한 입장을 취하는 것을 삼가고 추측이나 가설적인 단어를 사용하는 것입니다."지금 제가 문제를 보는 관점은 가설입니다. 이 부분이 맞거나 틀린 것은 당신이 확인해 줄 수 있습니다."
'사회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복지론, 아동학대 (0) | 2023.06.25 |
---|---|
노인복지론, 노년기 경제 활동 (0) | 2023.06.24 |
가족상담및가족치료,의사소통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모델 (0) | 2023.06.23 |
청소년복지론, 임파워먼트 (0) | 2023.06.22 |
청소년 복지론, 청소년복지의 원칙 (0) | 2023.06.21 |